
회사에서 사내용 SDK를 갈아엎고 있는 중이다. 그 당시엔 사내 전체 프로젝트가 HTTP통신 라이브러리로 Axios를 쓰고 있었기 때문에, SDK도 Axios를 기반으로 만들었다.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,, ky를 쓰는 팀이 생기고, 순수 fetch 에 대한 지원 요청도 들어왔다.모든 프로젝트에 대응 가능하게 만들려면, 각 라이브러리의 특징도 알아야겠더라. Axios를 오랫동안 써오면서 'API 통신 라이브러리' 정도로만 이해하며 사용하고 있었는데, 이번 기회에 확실히 머릿속에 개념을 새기고 가보려고 한다. 웹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방법에는 위 마인드맵에서 처럼 4가지가 있다. 그런데 gpt한테 다시 물어보니 정확히는 저런 계층은 아니다 📂 웹 서버 통신 방식├── 📂 HTTP│ ├── 📄 일..